Web

GITHub 기초 사용법

kimbangul 2020. 7. 12. 00:30

GIT

 

ctrl + l : 화면 지우기

방향키 위쪽 : 이전에 입력했던 명령어

$pwd : 현재 위치 확인

shift + insert : 붙여넣기(ctrl v가 먹히지 않음)

 

 

c:\작업물 폴더 경로 -> 프로젝트 폴더(외부에 공개하지 않을 파일들)

c:\작업물 폴더 경로\public -> 웹 루트 (외부에 공개할 파일들)

 

 

 

GIT 초기 세팅

 

$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(깃허브 아이디)"

$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(깃허브 이메일)"

 

 - 뒤의 깃허브 아이디, 이메일을 지운 후 엔터키를 누르면 현재 설정값을 확인할 수 있다.

$git config --global user.name

$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

 

- pc를 포맷하는 등의 초기화 작업이 없으면 한번만 설정해 놓으면 된다.

 

 

로컬 저장소 만들기

 

1. 프로젝트 폴더에서 우클릭 -> GIT Bash here 클릭해서 터미널 창 열기

 

2. $git init

프로젝트 폴더에 .git이 생겨 있으면 로컬 저장소(Repository) 만들기 성공.

 

 

 

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 연결

$git remote add origin "원격 저장소 주소.git"

 

 

- 원격 저장소 주소는 자신의 github 저장소에서 확인할 수 있다.

- add 대신 remove origin -> 연결 해제

- $git remote -v : 연결 확인

 

 

로컬 저장소에서 원격 저장소로 파일 이동

 

1. $git add .  ---> 장바구니에 담기라고 이해하면 쉽다.

add 뒤의 .은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것을 담겠다는 뜻. git add public/ 이런 식으로 하면 하나하나씩 담을 수도 있다.

 

$git status : 장바구니에 담긴 것(git add로 추가한 파일들)과 바뀐 내용들 확인 가능

 

2. $git commit -m "(작업명)" -----> 로컬 저장소로 파일을 이동한다.(장바구니 결제하기)

 

3. $git push origin master: 로컬 저장소에서 원격 저장소로 파일 이동.

로그인 창이 뜨는데 깃허브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면 push 끝.

 

 

push: 로컬 저장소에서 원격 저장소로

pull: 원격 저장소에서 로컬 저장소로

 

 

즉, add -> commit -> push 순.

 

 

 

원격 저장소에서 로컬 저장소로 파일 이동

 

1. 프로젝트 폴더 생성 -> 프로젝트 폴더에서 우클릭 -> GIT Bash here

2. $git init(저장소 생성)

3. git 설정(위에서 언급했던 초기 설정. pc 당 한 번만 하면 된다)

4. $git remote add origin "깃허브 주소"

5. $git pull origin master